[박물관] 파란만장했던 대한민국 현대사의 목격자이자 주인공' 광화문과 세종로의 역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특별전
기사입력 2022.01.10 11:47 조회수 396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광화문을 중심으로 현재의 세종로 일대는 조선 건국과 함께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중심적 역할을 해 온 공간이다. 광화문이 세워진지 600년을 맞아, 서울역사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협력전으로 광화문 일대의 역사와 공간을 탐색하는 서울역사문화특별전 광화문 600; 세 가지 이야기를 세 박물관이 각기 다른 주제로 진행한다.

 

먼저 서울역사박물관은 육조거리를 주제로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1116일부터 2022327), 국립고궁박물관은 경복궁 발굴복원 30주년 기념하여 경복궁 발굴복원을 주제로 고궁연화古宮年華특별전(121()부터 2022227),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한국현대사로 보는 광화문을 주제로 공간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광화문”(1217일부터 2022331)을 개최한다.

 

Tip. tp 개의 박물관 전시를 둘러보고 도장을 받고 각 박물관이 준비한 선물을 받을 수 있다. (참고, 선물은 마지막 관람한 박물관에서 받을 수 있다.)

 

 

전시장 입구.jpg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공간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광화문> 특별전

 

[서울문화인] 광화문 공간은 해방 이후, 파란만장했던 대한민국 현대사의 중심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한민국 정치행정외교의 중심이었고, 민주주의를 향한 정치적 열정이 표출되었고, 또한 다양한 문화 활동이 펼쳐진 공간이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남희숙)<공간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광화문> 특별전은 대한민국 대표 상징 공간 광화문이 품은 현대사의 중요한 현장과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는 전시이다.

 

 

광화(光化), 빛이 사방을 덮고 가르침이 만방에 미친다. -서경(書痙)

 

광화문에서 만나게 되는 건물은 어느 곳 보다도 해방 이후 우리의 현대사를 품은 건물로 가득하다. 정부신청사(현재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와 유솜(USOM, 미국대외원조기관, 현재의 미국대사관) 건물이 광화문 공간 현대화의 상징 건물로 1961년 건축된다. 또한 이승만 대통령 기념관으로 건축되던 우남회관은 4·19혁명 이후 시민회관으로 이름이 바뀌어 건립되었고, 1972년 화재로 소실되자 그 자리에 세종문화회관이 신축된다.

 

현재, 광화문에는 이순신 장군과 세종대왕 동상이 상징적으로 세워져 있지만, 1964년 세종로 중앙에 애국선현 동상이 37개가 설치되었었다. 그러나 내구성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여론에 1966년에 철거된다. 이후 1968417일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종로에 세워진다. 배경에는 애국선열 동상 인물 지정을 논의하는 중에 세종로와 태평로가 뚫려 있어 남쪽의 일본의 기운이 강하게 들어온다는 풍수지리학자의 주장에 일본이 가장 무서워하는 인물인 이순신 장군을 동상의 대상으로 정했다고 한다. 이후 2009년 홍익대학교 교수이자 조각가 김영원이 설계한 세종대왕 동상이 세워졌다.

 

 

세종로 이순신, 세종대왕 동상.jpg
세종로 이순신, 세종대왕 동상

 

 

강남개발과 서울올림픽 유치로 정부는 도심의 스카이라인을 계획하면서 도심의 스카이라인을 계획하고 고층 대형빌딩 건설을 독려한다. 이때 교보빌딩과 국제통신센터(KT 광화문 지사)가 건설되고, 문민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사업으로 중앙청이라 불리던 구 조선총독부 청사가 1995년 광복절에 철거된다. 또한 광화문은 1968년에 제자리를 찾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 복원이라는 비판을 받아 오다가, 2010년에 목조 건물로 복원된다.

 

4·19혁명 이후, 광화문 공간은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적 현장으로 등장, 대중이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광장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1960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 1965년 한일회담 비준반대운동, 19876월 민주항쟁, 2000년대 촛불 집회 등 민주주의의 상징적 장소로 한국사회의 정치적 열망이 집단적으로 표출되는 대표적 장소가 되었다.

 

 

연합국기가 걸린 조선총독부 건물.jpg
연합국기가 걸린 조선총독부 건물

 

 

14.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위대의 광화문 진입을 막아선 장갑차들과 군인들.jpg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위대의 광화문 진입을 막아선 장갑차들과 군인들

 

 

광화문 거리는 조선시대 행정의 중심 공간이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로 그 기능을 상실하고 대부분의 행정 건물이 철거되었지만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 다시 정치행정외교의 중심지로 그리고 현재는 민주주의를 향한 열정과 시민들의 문화활동의 중심지로 각인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신청사 이전(사진), 정부종합청사 신축안내서, 세종문화회관 개관기념 명패, 충무공 이순신 장군상(모형), 국제극장(사진), 조선총독부청사 철거(사진), 국제전신전화국 구청사철거 문서, 복원된 광화문(사진), 지구의 날 행사(사진), 다양한 집회 자료와 영상을 만나볼 수 있다.

 

 

국제극장.jpg
1957년 세종로 사거리에 세워진 약 1800석 규모의 영화관 국제극장이다. <자유부인>, <별은 내 가슴에> 등의 많은 영화를 상영했으며, 1985년 철거 때까지 800여편의 영화를 상영했다.

 

 

완공된 세종로 지하도 01.jpg
완공된 세종로 지하도(1966), 세종로 지하도는 1966년 4월 19일에 착공하여 9월 30일에 준공하였다. 공사가 시작된 지 164일만의 일이었다.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명패.jpg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명패 / 세종문화회관 건물 설계는 엄덕문 건축연구소가 맡았으며 시공사는 대림산업이었다. 한국의 전통양식을 담으려는 취지에서 외부벽면을 화강석으로 마감하였고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 부조를 배치하였다.

 

 

충무공이순신장군상모형 01.jpg
충무공이순신장군상모형

 

 

 

한편, 이번 전시는 총 4개 공간으로 광화문의 현대사를 만나볼 수 있다. 1다시 찾은 광화문에서는 광복 이후 광화문 거리가 한국 현대사 출발의 중심이었음을 설명하며, 2광화문 거리 개발과 건설에서는 광화문 공간이 경제개발을 위한 정치행정 중심기관 건설과 함께 국가행사의 중심 무대가 되었고, 유동인구 및 차량 증가 속에서 광화문 거리의 현대적 기반이 마련되었음을 설명한다.

 

그리고 3광화문 거리의 현대적 재구성에서는 남북간 체제 경쟁과 강남개발, 도심재개발과 1980년대 올림픽 유치 속에서 진행된 광화문 공간의 현대적 건설을 설펴본다. 4광화문 공간의 전환에서는 광화문 거리의 역사적 상징화 작업과 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주체가 국가에서 시민으로 변화되는 모습과 광화문 광장의 출현을 소개한다. 더불어 전시장에는 광화문 변천사를 영상(3면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광복.jpg
광복

 

 

1960년대.jpg
1960년대

 

 

2000년대.jpg
2000년대

 

 

영상 1.jpg
영상

 

 

 

 

전시는 오는 331()까지 기획전시실(3)에서 만나볼 수 있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www.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