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 명창의 부채에 담긴 다양한 글과 그림, 그리고 이야기까지

국립국악원 기획전시 ‘명인 명창의 부채- 바람에 바람을 싣다’
기사입력 2022.07.06 14:34 조회수 511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ss명인명창의부채_포스터.jpg

 

 

 

 

[서울문화인] 판소리를 비롯하여 한량춤, 부채산조, 부채춤과 같은 전통춤은 물론 줄타기, 탈춤, 굿 등 연희까지 우리나라 전통예술에서 필수적으로 활용하는 소품은 부채이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전통공연예술의 부채를 중심으로 명인 명창의 예술세계와 그들의 이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획전시 명인 명창의 부채-바람에 바람을 싣다를 지난 629()부터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선보이고 있다.

 

부치는 채, 부채는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식히거나 불을 지피기도 하고 태양의 햇빛을 차단하고 얼굴을 가려 비밀을 유지하기도 한다. 현재는 휴대가 가능한 선풍기와 어디서나 에어컨 바람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부채의 용도가 퇴색되었지만 과거에는 더위를 식히는 용도 이외에도 양반들의 멋과 풍류, 권위를 담은 상징물이다. 특히 호사가들은 고급 합죽선에 당대 최고의 화가, 서예가에게 작품을 받는 등 부채를 소지품으로 들고 다니며 위엄을 나타내는 권력의 상징도구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채가 무대에 올라가면 그 성격이 달라진다. 부채는 관객이 주시하는 대상이 되고, 무대 위에 표현되는 연희의 도구가 된다.

 

 

01.jpg

 

명인, 명창의 예술 세계를 담은 부채 80여점 한자리에 모아

이번 전시는 판소리, 전통춤, 연희, 무속 분야 전통예술의 명인, 명창 58명의 부채와 함께 샤머니즘박물관(양종승 관장), ()해안별신굿보존회이 소장하고 있는 민속 예술, 굿판에 사용되는 부채. 신영희 명창이 70여 년의 세월을 함께한 부채를 8폭의 병풍으로 제작한 병풍 등 80여점의 부채 을 통해 소품으로서의 부채를 넘어 다양한 명인 명창들의 삶과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또한, 부채에 담긴 글과 그림을 통해 명인 명창의 예술에 대한 열정과 이상도 엿볼 수 있다.

 

마치 예술과도 같이 대대로 이어지는 부채

오정숙 명창(전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은 아천(雅泉) 김영철 화백에게 받은 사슴이 그려진 두 개의 부채 중 하나는 이일주 명창(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심청가 예능보유자)에게 또 하나는 김소영 명창(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수궁가 예능보유자)에게 물려주었다. 이일주 명창에게 물려준 부채는 다시 제자인 장문희 명창(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심청가 예능보유자)에게 물려져 스승의 마음을 담은 소리는 부채를 통해서도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줄타기 김대균 명인(국가무형문화재 줄타기 예능보유자) 역시 그의 스승인 김영철 명인(전 국가무형문화재 줄타기 예능보유자)의 부채를 물려받아 부채살을 손수 고쳐가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판소리 명창 채수정(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의 부친은 진도 출신의 서예가인 오당(悟堂) 채원식 선생이다. 오당 선생은 청풍명월본무가(淸風明月本無價,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은 본래 값이 없어 한 푼을 내지 않아도 무한히 즐길 수 있다.)’라는 글귀를 적어 딸에게 선물하며 좋은 소리를 많은 이들에게 들려주길 바라는 그의 마음을 전했다.

 

 

02.jpg

 

 

03.jpg

 

 

 

부채에 담긴 예술

임이조 명인(전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전승교육사)은 한량무의 명인이었다. 그가 춤추는 모습을 본 누군가는 춤추는 모습이 마치 학과 같다.”라는 의미인 학무학(鶴舞鶴)이라는 글을 써주었다.

 

정재만 명인(전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예능보유자)은 그가 창작한 작품인 청풍명월의 첫 공연에 쓰일 부채의 그림을 직접 고안해 아직까지 제자들이 그 부채를 사용하고 있다.

 

정순임 명창(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은 유관순 열사가로 유명하다. 정순임 명창이 유관순 열사가를 부를 때 사용하는 무궁화가 그려진 부채 역시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노래와 춤, 부채를 통한 예술인들의 교유(交遊)

명인 명창과의 많은 교유로 유명한 아천(雅泉) 김영철 화백은 오정숙 명창의 소리를 들으며 부채에 그림을 그렸고, 이매방 선생(전 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승무 예능보유자)의 춤을 보고 학을 그려 선물하기도 했다.

 

 

04_국립국악원_국악박물관기획전시_명인명창의부채_바람에바람을싣다_오정숙_부채.JPG
오정숙 명창 부채

 

 

05_국립국악원_국악박물관기획전시_명인명창의부채_바람에바람을싣다_이매방_부채.JPG
이매방 선생 부채

 

 

 

전 동래야류 예능보유자인 증곡(曾谷) 천재동 선생은 같은 부산 지역의 김온경 명인(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동래고무 예능보유자)이 승무를 춤추는 모습을 부채에 담아 선물하기도 하였다.

 

유영애 명창(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심청가 예능보유자)의 심청가를 들은 청봉(靑峰) 유기원 선생은 부채에 심청가의 눈대목인 추월만정(秋月滿庭)의 가사를 담아 선물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서로 다른 장르의 예술가들이 서로를 존경하고 아끼며 함께한 교유(交遊)의 순간을 느낄 수 있다.

 

 

01_국립국악원_국악박물관기획전시_명인명창의부채_바람에바람을싣다_김온경_부채.jpg
김온경 명인 부채

 

 

02_국립국악원_국악박물관기획전시_명인명창의부채_바람에바람을싣다_유영애_부채.JPG
유영애 명창 부채

 

 

 

사람의 행복을 기원한 100년 부채 그리고 8폭에 담긴 명창의 시간

남해안별신굿에서 무당은 이상세계를 담고 있는 부채를 들고 사람들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한다. 남해안별신굿보존회에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1987) 되기 전 큰무당(대모) 유선이(1881~1952) 명인이 사용하고 정모연(남해안별신굿 초대예능보유자)고주옥(남해안별신굿 예능보유자)으로 이어져 온 100년이 넘은 부채가 소중히 보관되어 있다.

 

신영희 명창(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은 소리인생 70년간 사용한 부채 중 닳아 사용할 수 없는 부채 24점을 모아 8폭 병풍에 담았다. 병풍에 담긴 부채 한 점, 한 점에는 신영희 명창의 70년 소리 인생과 부채에 대한 애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신영희 명창 01.jpg
신영희 명창 부채병풍

 

 

 

신영희 명창은 지금도 내가 쓰던 부채를 계속해서 모으고 있다. 그 부채가 모아지면 병풍으로 만들어 보전할 계획이다. 후배들도 자신이 쓰던 부채를 함부로 하지 말고 소중하게 간직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명인, 명창의 부채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은 산수화부터 고결함을 상징하는 사군자, 소나무, 연꽃 등을 담아내었다면, 우리의 민속 예술과 굿에서 사용하던 부채는 화려한 채색과 샤머니즘이 강한 이미지가 그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장.jpg
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장과 소장 부채들

 

 

전시를 총괄한 서인화 국악연구실장은 명인 명창들의 이야기와 바람이 담겨있는 그리고 신체의 일부와도 같은 소중한 부채를 전시를 위해 기증 또는 대여해 주신 모든 명인 명창분이 계셨기에 이번 전시가 가능했다.”고 밝히면서 명인 명창의 이상과 예술에 임하는 마음가짐, 그리고 예술의 경이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될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또한 전시 명 명인 명창의 부채, 바람에 바람을 싣다의 붓글씨는 한글서예가로 유명한 소리꾼 장사익이 직접 써 전시의 의미를 더욱 빛냈다.

 

 

장사익.jpg
전시 타이틀을 쓴 소리꾼 장사익

 

 

판소리, 전통춤, 줄타기, 탈춤, 무속 등 명인, 명창 58명의 부채 80여점을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925()까지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국립국악원은 전시와 관련한 연계 특강을 오는 8월부터 진행할 계획이라 한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 (문의 02-580-3130)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www.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